본문 바로가기
대구MBC NEWS대구MBC NEWSDESK대구MBC NEWSDESK, TODAY 리포트 대구MBC 사회사회 일반지역대구MBC 뉴스데스크 사회대구MBC 뉴스투데이 사회

응급 대처 못하는 응급실···인력·시설 확충해야

◀앵커▶

지난 주말 구미의 19개월 된 아기가 병원 응급실을 전전하다 겨우 치료를 받는 어처구니 없는 일이 있었습니다.


밤사이 혈변까지 보는 위급 상황에서도 이른바 '응급실 뺑뺑이'를 당한 겁니다.

일이 터질 때마다 개선책을 내놓고 있지만 휴일 응급 의료는 여전히 불안하기만 한데요,

응급 대처 못하는 응급실이라는 비판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김철우 기자입니다.

 ◀기자▶
구미에 사는 김 모 씨는 19개월 된 아기가 밤사이 혈변을 보면서 울자 지난 2일 아침 일찍 구미의 한 병원을 찾았습니다.

365일 언제든 소아 진료가 가능하도록 구미시로부터 지원을 받는 종합병원입니다.

그런데, 이 병원에서 장중첩으로 의심되지만 손쓸 방법이 없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급히 대구의 종합병원을 찾았습니다.

소아응급실을 운영하는 이 병원도 초음파 등 영상 촬영이 안 된다며 다른 병원으로 갈 것을 권했습니다.

119 상황판에 진료 가능하다고 표시된 병원도 막상 도착해 보니 진료를 받을 수 없었습니다.

그사이 또 다른 두 군데 병원은 전화로 아예 거절했고 결국 119에서 다시 안내한 다른 대학병원에서 시술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김 모 씨 19개월 아기 아빠▶
"24시간 내에 처치를 안 하면 장이 괴사해 가지고 절제를 해야 될 수도 있다 하더라고요. 시간을 다투는 병인데, 어떻게..."

지난 주말 '응급실 뺑뺑이' 보도를 보고 직접 연락해 온 응급의학 전문가는 2010년에도 대구에서 장중첩증으로 4살 아이가 응급실을 전전하다 숨진 일을 되짚어봐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10년이 넘도록 제대로 된 진단과 대책이 나오지 않고 있다는 겁니다.

◀조석주 부산대 응급의학과 교수▶
"(119) 구급대에서 환자의 진단이 부정확하지 않습니까? 배 아픈 아기인지 설사 한번 하고 나면 끝날지 알 수 없지 않습니까? 진단 자체가 부정확하면 (향후 증상이) 어디로 뛸지 알 수 없는 환자이지 않습니까?

구급대가 환자를 보내면 (병원이) 무조건 받겠다? 정책 자체가 엉터리…"

전문가들은 응급실을 운영하는 병원들의 인력이나 장비, 시설 운영 기준이 응급 상황에 대응하기에 턱없이 부족하다고 지적합니다.

응급체계와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와 확충 없이는 '응급실 뺑뺑이'는 되풀이될 수밖에 없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MBC NEWS 김철우입니다.

(영상취재 김종준, CG 김현주)


김철우

추천 뉴스

최신뉴스